반응형

 

 

| 퇴직금이란?

퇴직금은 회사에서 1년 이상 계속적으로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는 퇴직급여입니다.

퇴직을 원인으로 하는 퇴직 소득입니다.

 

| 퇴직소득세란?

 

어떤 회사에 근무하다가 퇴직하는 경우 일정 조건을 갖추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퇴직금에도 세금이 부과된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그 세금이 바로 퇴직소득세입니다.

 

 

 

 

| 퇴직소득의 범위

- 공적연금 관련법에 따라 받는 일시금 (지연지급 이자 포함)
- 사용자 부담금을 기초로 하여 현실적인 퇴직을 원인으로 지급받는 소득
- 소기업, 소상공인 공제금 (2016년 1월 1일 이후 가입분부터 적용)
- 건설근로자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급받는 퇴직공제금
-과학기술인 공제회법에 따라 지급받는 과학기술 발전 장려금

| 퇴직소득 과세표준 및 산출세액 계산법

1. 퇴직소득 과세표준

환산급여 (퇴직소득금액 - 근속연수 공제) ÷ 근속연수 × 12-환산 급여공제

- 환산 급여 = (퇴직소득금액 - 근속연수 공제) / 근속연수 × 12

- 퇴직소득금액 = 퇴직급여액 - 비과세 소득

 

※ 환산 급여 공제

※ 근속연수 공제

2. 퇴직소득 산출세액

 

 

 

(퇴직소득 과세표준 X 기본세율)  ÷ 12 X 근속연수

※ 세율

퇴직소득 계산법은

퇴직소득 과세표준에 아래의 기본세율을 적용합니다.

3. 경과조치

2016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 사이에 퇴직한 사람은 해당 연도에 따라 각각 2015년 12월 31일 이전의 계산방법에 의한 산출세액과 2016년 1월 1일 이후의 계산방법에 의한 산출세액을 적용합니다.

퇴직소득 산출세액
= (2015년 12월 31일 이전 계산법 X 연도별 적용비율) + (2016년 1월 1일 이후 계산법 X 연도별 적용비율)

※ 연도별 적용비율

| 아주 쉬운 홈택스 퇴직소득 계산기 프로그램 이용하기

 

우리나라의 홈택스는 정말 잘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홈택스의 계산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국세청 홈페이지 메인화면에 들어갑니다.

그 후 우측 하단에 있는 세금 종류별 서비스를 보면 <모의 계산>이 있습니다.

 

 

모의 계산 <클릭>

 

모의계산 안에도 여러 가지 계산할 것들이 있습니다.

그중 이번에 하려는 <퇴직소득 세액>을 클릭해 주세요.

 

그리고 2018년, 2019년, 2020년 등 해당하는 년도를 선택해주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쭈욱 입력해주면

대략적인 퇴직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의 퇴직소득세 계산기 정말 편하더라고요.

 

 

 

 

 

다 입력하시면 계산이 납부해야 할 퇴직소득세가 산출이 됩니다.

 

 

| 마치며

오늘은 퇴직소득세 계산 방법과, 홈택스의 퇴직소득 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퇴직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의 새로운 시작을 멀리서 응원합니다.

고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