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공매도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공매도가 한시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1. 언제까지 금지인가요?

금융당국는 코로나19로 인한 주가 폭락을 막기 위해 작년 3월부터 2021년 3월 15일까지 약 1년간 한시적으로 공매도 금지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 2021년 3월 16일부터 공매도가 재개 됩니다.

 

 

 

 

 

 

 

 

| 2. 공매도 금지 조치 해제 ?

공매도 재개 조치를 정치권과 개인 투자자가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공매도 금지 조치 해제에 착수했습니다.

올해 들어 주가가 급등하여 코스피 3,000이 되자 제동을 걸기로 하였습니다.

 

금융위는 1월 11일 "3월 공매도 재개를 목표로 하여 불법 공매도 처벌 강화, 시장조성자 제도 개선, 개인의 공매도 접근성 제고 등 제도 개선을 마무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것으로 금융당국의 공매도 재개는 거의 오피셜로 받아드리고 있는 듯 합니다.

 

 

| 3. 공매도가 무엇이길래?

공매도는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투자자가 주식을 파는 행위를 뜻합니다. 주식도 없는데 주식을 판다고요? 좀 이상하죠?

공매도는 주식의 가격이 떨어질 것을 예상하는 투자자가 현재 가격으로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가격이 떨어지면 싼 가격으로 다시 사서 매매차익을 얻는 투자법입니다.

 

삼성전자를 예로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삼성전자의 주가가 10만원일 때 10주를 빌려서 팔았다가(공매도) 
2일 후 7만 원으로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7만 원에 삼성전자 주식을  10주 사서 반납하면
30만원의 매매차익이 생깁니다.

참 이상하죠?
저도 이상합니다.

 

참고로 공매도는 우리 같은 동학개미 투자자들은 법적으로 할 수 없습니다.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만 가능합니다.

 

그래서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말이 자주 나오는데요.

 

 

 

 

 

| 4. 공매도가 주식시장을 지탱할까?

현재 코로나19로 인하여 실물경제는 정말 처참합니다.

자영업자는 여기저기서 곡소리가 나고요.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눈물을 흘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주식과 부동산 가격은 폭등하고 있지요.

 

주식이 폭등하는 이유는 여러가지라고 합니다.

 

- 2008년부터 이어지는
금리 인하에 따른 유동성

유동성은 전 세계적인 이슈입니다.

 

 

- 부동산 규제때문에 주식으로 들어옴

- 재난지원금등 돈을 풀고 있는 정부

- 화폐가치 하락으로 주식으로 위험 헷지

- 주식 광풍 등

- 공매도 금지

 

 

 

개미투자자들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공매도 금지조치도 주식상승에 영향이 있다고 합니다.

왜냐면 공매도는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들 같은 이른바 큰손들이 하락장에 베팅을 하면서 주식이 폭락하게 되는데요.

적어도 그런일은 없기 떄문입니다.

 

| 5. 결 론

현재 금융당국은 코스피가 과열이라고 판단 하면서 원안대로 공매도 금지 해제 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습니다.

일정대로라면 올 3월 16일 화요일부터 공매도가 재개될 예정인대요.

공매도를 재개하려는 금융당국과 이를 반대하는 개인들이 정면으로 맞붙었습니다.

최근에는 청와대 청원까지 올라온 상태입니다.

 

 

20만명이 되면 정부당국에서 입장발표를 해야하는데 벌써 11만명을 훌쩍 넘어섰습니다.

참고로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영원한 공매도 금지를 청원합니다. 지금 증시를 봐주세요. 공매도가 없다고 증시에 문제가 있나

나라를 나라답게, 국민과 함께 갑니다.

www1.president.go.kr

공매도 금지 재개에 따라서 투자자의 심리와 공매도로 인해 조정장이 올수도 있으니 과연 금융당국에서 공매도를 재개할 지 금지 할 지 눈여겨 봐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