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방법 총정리
정부는 6월 29일부터 정부24 안드로이드 앱을 이용하여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앱은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앱 이름 | 정부24 |
신청하기 | 앱설치(갤럭시 바로가기) |
다운로드 | 앱설치(아이폰 바로가기) |
1분기 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청 대상
1분기 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청 대상 저소득 가구 긴급지원금 신청 대상 및 가구별 지원금액 저소득 가구 긴급지원금 신청 대상 및 가구별 지원금액 저소득 가구 긴급지원금 신청 대상 및
jangbanjang.tistory.com
https://jiwon.carrotnews.co.kr/
1분기 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청 대상 - 소상공인 1분기 손실보상 신청 대상
1분기 손실보상, 1분기 손실보상금, 소상공인 1분기 손실보상, 2022년 1분기 손실보상 신청, 소상공인 1분기 손실보상 신청 대상, 2022년 1분기 코로나 19로 인한 방역조치 실시후 여러 피해가 발생한
jiwon.carrotnews.co.kr
현재 안드로이드만 시행중이며 아이폰은 아직 서비스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방법
지난 1월 공표된 주민등록법 개정안을 근거로 '모바일 주민등록증 신분증'이 사용가능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습니다.
저소득 가구 긴급지원금 신청 대상 및 가구별 지원금액
저소득 가구 긴급지원금 신청 대상 및 가구별 지원금액 이번 정부는 급격히 오른 물가와 코로나로 직격탄을 맞은 저소득층의 생계부담을 덜어주고 소비를 진작 시키기 위해 한시 저소득
jangbanjang.tistory.com
특고 프리랜서 지원금 신청방법
특고 프리랜서 지원금 200만원 신청방법 이번 6차 특고 프리랜서 고용안정지원금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정부에서는 특수고용 노동자, 프리랜서 등에게도 지원금을 지급해 주는데요. 아래를
jangbanjang.tistory.com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사용하려면 아래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으로 서비스 등록
- 정부24 앱 설치
- 패스를 통한 인증과 기본정보 확인 절차
또한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중요한 정보는 QR코드로 암호화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더 보안에 신경을 쓸 수 있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처
모바일 등록증은 아래와 같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 민원접수에서 신분 확인을 요하는 서류접수 시 실물 신분증 대신 이용 가능합니다
- 편의점, 식당등에서 성인인증을 할때 사용 가능합니다
- 공항이나 항구에서 비행기, 여객선등을 탑승할때도 본인확인용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계약 혹은 거래시에도 사용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 대상 방법 총정리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 대상 방법 총정리 서울시는 2022년 희망두배 청년통장 7000명을 모집합니다. 지급금액 최대 540만원과 이자 지급 신청방법 관할 주민센터(바로가기) 신청안내
jangbanjang.tistory.com
모바일 주민등록증 진위여부 확인
그렇다면 모바일 식당이나, 계약을 할 때의 당사자간에 모바일 주민등록증 진위여부를 어떻게 구분하는지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마찬가지로 정부 24앱에서 QR코드 진위확인 메뉴를 실행하시면 실제 주민등록증의 위조여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 손실보상 600만원 확정
소상공인 손실보상 600만원 확정 이번 추경에서 손실소상안이 확정되었습니다. 신청은 30일 31일 홀,짝수에 맞게 신청하시면 됩니다. 아래를 참고하세요. 손실보전금 신청 바로가기>> 내용 요약
jangbanjang.tistory.com
아래는 서울시 복지 정책입니다. 아래를 참고하세요.
👉클릭하시면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경영위기 일반업종 일상회복 지원 |
경영위기업종 소상공인에 경영위기지원금 100만원 지원 |
5~6월 지급 | 노동공정상생정책관 소상공인정책담당관 |
02-2133-5550 |
4無 안심「창업· 재창업기업 자금」 지원 |
코로나가 발생한 ‘20년 이후 창업 또는 재창업한 기업 및 소상공인 대상 최대 7천만원 금융지원(3천억원) |
5월 개시 | 02-2133-5190 | |
한계 소상공인 재기지원 |
폐업위기 한계 소상공인 3,000개소 대상 사업정리 및 재기비용 업체당 300만원 지원 |
6월 지급 | 02-2133-5533 | |
e서울사랑 상품권 발행 |
소상공인 온라인 매출증대를 위해 e서울사랑상품권 350억 규모 발행 |
7월 발행 | 노동공정상생정책관 소상공인플랫폼담당관 |
02-2133-5148 |
재창업 소상공인 고용장려금 지원 |
폐업 후 재창업한 소상공인이 신규인력 채용 시 150만원 지원 |
5월 접수 7월 지급개시 |
경제정책실 일자리정책과 |
02-2133-5455 |
무급휴직근로자 지원금 지원 |
코로나19로 인한 무급휴직자에게 최대 150만원 지원 |
5월 접수 6~7월 지급 |
02-2133-5455 | |
코로나19 피해업종 뉴딜일자리 신규 추진 |
코로나19 피해 5대분야(소상공인, 도시제조업, 예술관광 등) 중점 지원(568명) |
5월 접수 | 02-2133-5461 | |
서울시민 안심 일자리확대 |
생활방역 강화 및 저소득층 생계 유지를 위한 공공일자리 확대(1,039명) |
5월 접수 | 02-2133-5472 | |
도심제조업 작업환경 개선 |
의류, 기계 등 업종별 수요 맞춤형 작업환경 개선 지원(1천개소) |
4월~5월 모집 | 경제정책실 제조산업혁신과 |
02-2133-8786 |
제조공정 디지털 전환 지원 |
제조공정 개선 컨설팅, 스마트공방 구축 |
5월 모집 | 02-2133-8768 | |
뿌리산업 체계적 지원 |
기술고도화 지원, 일감연계 및 판로확대 |
5월 모집 | 02-3146-8762 | |
중소기업 경영 리스크 완화 |
중소기업 매출채권보험료 지원 (2,500개사) |
5월 개시 |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 |
02-2133-5256 |